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UnrealEngine549

언리얼엔진5 블렌드 스페이스 다루는 방법(UnrealEngine5 BlendSpace) 블렌드 스페이스를 만들고 싶은 에디터 빈 공간에 우클릭을 하고 아래의 경로대로 클릭해 줍니다. 저기서 블렌드 스페이스 1D와 일반 블렌드 스페이스의 차이는 애니메이션들을 블렌딩할 기준이 한개냐 두개냐에 따른 차이일 뿐이에요. 만들어진 블렌드 스페이스를 들어가 보면 Axis Settings부분에 Horizontal, Vertical 두 개의 축이 있습니다. 각각 애니메이션들을 블렌딩할 가로축과 세로축에 해당되는 축이라고 보면 될 것 같네요. 저는 가로축을 방향(Direction)으로 두고 세로축을 속도(Speed)로 잡아줄게요. 방향은 방향 변수를 각도로 준다면 360도가 맥시멈이기 때문에 -180부터 +180까지로 제한해 줄게요. Snap to Grid는 저는 어지간하면 항상 활성화하는 편이에요. 별 다.. 2022. 9. 16.
언리얼엔진5 출시 및 배포를 위한 패키징 작업 팁 확실한 실험에 따른 결과만 채워넣습니다. 프로젝트 세팅에서 패키징시킬 레벨(게임 베이스 레벨) 기준으로 패키징됨. 프로젝트 세팅 항목의 패키징 부분에 있는 아래 사진 부분에서의 경로같은 경우는 지정해주나 안해주나 상관없음. 이유는 어차피 에디터 뷰포트쪽에서의 이 패키징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정하게되는 새로운 경로로 오버라이드되기 때문임. 실제로 오류도 안남. 에디터 옵션이 프로젝트 패키징 세팅 옵션을 잡아먹는 구조인 것 같음. 다만 게임 디폴트 맵(레벨)은 프로젝트 세팅에서 지정하는게 최상위 계열로 처리되는듯함. 에디터 상에서 플랫폼에 대한 패키징을 누를 때 퀵 런치에 대한 내 데스크탑 아이콘 앞이 저런식으로 위험 아이콘이면 안됨. 이런식으로 멀쩡한 아이콘이어야 함. 나머지는 아래 링크 참고. https.. 2022. 9. 12.
언리얼엔진5에서 내 게임을 패키징해 내보내는 방법 우선 인터넷을 뒤져서 나오는 자료는 아래와 같은 안내서만 있는데 저건 언리얼엔진 4에만 해당되는 방법이야. 언리얼엔진 5에서는 아래와 같은 위치의 버튼을 먼저 눌러주자. 뷰포트 좌측 상단에 위치해 있어. 그 상태에서 보이는 화면의 Project 부분에서 Build Configuration을 Shipping으로 바꿔주자. 그 아래부분에 있는 Staging Directory는 내보낼 경로를 의미하는 것 같아. 우측의 작은 점 세개를 눌러 경로를 지정해주자. 그 바로 아래에 보이는 Full Rebuild는 내 게임을 처음 패키징할때만 체크해 주고 수정된 파일만 추가해야 할 땐 false로 언체크해주면 돼. 난 이 프로젝트가 첫 패키징이니 체크 온을 해 줄게. 나머지 내 게임에 대한 옵션이나 설명같은것들은 여기.. 2022. 9. 12.
임포트(Import)나 마이그레이션(이주)할 때 Material(머터리얼) 하얗게 깨지는 오류현상 해결 방법 언리얼엔진을 사용하다 보면 캐릭터든 뭐든 임포트나 마이그레이션을 해야 할 때가 있어. 그럴 때마다 정말 스트레스 많이 받았었는데 아는 지인이 가르쳐 주셔서 기록해 둬야겠어. 일단 대부분의 텍스처나 머터리얼의 깨짐현상 발생 원인은 임포트 위치가 Content(콘텐츠)폴더가 아닌 콘텐츠 폴더 외부나 내부의 다른 폴더 안의 경로에서 임포트를 했기 때문이래. 자세한 사실들은 직접 검증해 보면서 확인하고 다시 와서 추가해야겠어. 2022. 8. 29.
오늘자 일기 겸 UnrealEngine5 Visual Studio Code로 빌드하는 법 오늘은 일기 겸 꿀팁 메모를 할거야. 앞으로 일기장 형식의 글에선 대화체로 기록해야겠어. 일단 오늘은 언리얼엔진5(Unreal Engine5)를 VS Code(Visual Studio Code)로 완벽하게 빌드하는 방법을 기록할건데 M1pro 풀옵션도 있으면서 굳이 윈도우 데스크탑 빌드를 기록해놓는 이유는 어차피 게임 출시에 앞서 윈도우버전으로도 패키징하긴 해야하기때문에 데스크탑 부품들도 주문한 김에 미리 있는 윈도우 데스크탑으로 내일 도착할 데스크탑 부품들을 맞이할 준비들을 해 놓는거지. 그리고 앞으로 메인 작업환경은 아무래도 윈도우 데스크탑에서 해야 할 것 같아. 다른거면 몰라도 언리얼엔진5의 레이 트레이싱이나 루멘, 나나이트 등등이 아직 애플과 친하지가 않아서(소송중이래) 그 소송 끝나는걸 기다리다.. 2022. 8. 10.
언리얼엔진5 Control Rig 관련 메모(매우 중요) 우선 단축키 Shift + P = Unparent(부모 해제) Command(윈도우는Ctrl) + N = 선택된 본에 대한 새 컨트롤 본 생성 Command(윈도우는Ctrl) + Shift + V = 복사한 트랜스폼 붙여넣기. (++2022-08-26오전06:35추가) ?아니 세 줄 밖에 없는데 뭐가 매우 중요하다는 거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더 쓰려다가 까먹었나? 2022. 7. 20.
머터리얼(Material), 및 텍스처(Texture) 용어정리 메모(UnrealEngine5기준) Albedo = 기본 베이스 컬러랑 비슷한 전체적인 색상 느낌으로 생각하면 될 것 같아. Normal = 노말에 연결하면 됨! ORDp = 이게 내가 본 것들은 연두색과 노란색의 중간처럼 생겼는데 폐색, 거칠기 및 변위를 나타낸다고 해. 빨간색은 주변 폐색(Ambient Occlusion), 녹색은 거칠기(Roughness), 파란색은 변위라고 해. Specular = 반사광(스페큘러). 값으로 0을 주거나 노드로 0을 연결해주면 반사광이 사라져. ++쭉 추가 및 수정할 예정 (++2022-08-26오전06:22추가) 위에 저렇게 써 놓고 모델링 프로그램들한테 두들겨맞느라 하나도 추가 못했나보네 ㅋㅋㅋㅋ곧 텍스처랑 머터리얼들 빡세게 해야 할 날이 오고 있으니 기대해도 될듯! 2022. 7. 19.
이펙트나 사운드 등등 모든것들 자동으로 On/Off하는법 블루프린트로 Set Auto Activate를 Construction Script에서 추가해 연결해서쓰면됨ㅎㅎ 2022. 7. 19.
UnrealEngine5에서 음향 재생 속도 유동적으로 변경하는 방법 사진 참고 Pitch Multiplier노드를 꼭 Lerp의 Return Value로 연결해 줘야 해. 그럼 기타 복잡한 작업들 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문이 열리는데에 필요한 애니메이션의 속도에 맞게 음향효과가 재생돼. 2022. 7. 14.
반응형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