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UnrealEngine549 Unreal Error "fatal error LNK1120 확인할 수 없는 외부 참조입니다."(UE5.1 기준) 제목과 같이 "fatal error LNK1120 확인할 수 없는 외부 참조입니다" 라는 오류가 뜰 때, 그리고 아래와 같이 UWidgetComponent와 관련된 오류인 것처럼 보일 때 시도해볼 수 있는 방법이야. 보통 문제 발생의 원인으로 보여지는 클래스의(이 글에선 UWidgetComponent) 헤더 파일로 거슬러올라가 보면, 아래 사진과 같이 UCLASS 메타데이터의 어느 부분에서 "CoreMinimal.h" 이라는 주소를 읽어오는걸 볼 수 있어. 그리고 MinimalAPI는 기호를 내보내지 않으므로 "unresolved external symbol"이 된다고 해. 그렇기 때문에 우선 지금처럼 UWidgetComponent와 관련된 오류로 보일 땐 [프로젝트 이름].build.cs파일로 들어가서.. 2023. 2. 4. UE 5.1 기준 "Unable to launch ShaderCompileWorker" Error 시도해볼 수 있는 해결 방법 언리얼엔진 에디터를 켤 때, 로딩이 되는 듯 하다가 "Unable to launch ShaderCompileWorker" 에러 메시지와 함께 에디터가 켜지지 않는다면 다음 사항들을 확인해 보도록 하자. 혹시라도 본인의 컴퓨터가 윈도우를 쓰고 있다면 One Drive(원드라이브)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해 본다. 내 컴퓨터에 OneDrive가 깔려 있는지 없는지조차 확실하지 않다면, 컴퓨터에서 시작 키를 누르고 "OneDrive"를 검색해본다. 그런 다음, 내 언리얼엔진 프로젝트 경로를 찾아준다. 만약, 내가 열고자 하는(에러가 나는) 언리얼 프로젝트가 One Drive에서 동기화중인 폴더에 들어가있다면, One Drive를 비활성화 해 주거나, 내 언리얼 프로젝트 폴더를 아예 원드라이브가 동기화 중인 폴.. 2023. 1. 22. Unreal Engine Niagara, Cascade 차이점 케스케이드(Cascade)를 쓰면 필요한 모듈이나 여러 부분들을 클라(Client)쪽 부서에 의존하며 부탁해야 하는 경우가 많음. 나이아가라 시스템을 사용하면 아티스트가 이미터를 제어하는 모듈을 직접 만들고 제어까지 할 수가 있다. 즉, 나이아가라와 케스케이드의 차이라 한다면, 모듈의 유무에 따른 자유도 차이가 될 수 있겠다. 2023. 1. 11. Unreal Engine 5.1 설치와 세팅 Google에 epic games 검색! 첫 번째 링크를 타고 들어가면 이런 화면이 뜨는데, 최상단 우측의 아래 버튼을 클릭! 클릭하고 다운로드되는 이 파일을 바로 실행시켜준다. 안내를 따라 약관 동의하고 Next를 계속 눌러주다 보면 끝! 설치가 끝난 후 바탕화면에 이런 아이콘이 생겼다면 더블클릭! (보이지 않는다면 시작 키를 누르고 epic을 검색해준다) 에픽 게임즈 런처가 켜지면 이 화면이 뜬다. 상단의 라이브러리 클릭! 엔진 버전을 보면 텅 비어 있겠지만 이 +버튼을 클릭해 준다. 그럼 설치할 엔진 버전을 선택할 수 있다. (나는 5.1을 이미 설치함!) 필요한 엔진 버전을 선택했다면 여기서 옵션을 눌러준다. 옵션에서 필요한 항목에 체크를 하되, 엔진 소스와 디버깅을 위한 편집기 기호는 아래와 같.. 2023. 1. 5. 언리얼엔진5 애니메이션만 임포트할 때 오류 만약 언리얼엔진으로 애니메이션을 임포트해 올 때 호환이 안된다거나 유효하지 않은 프레임이 있다거나 할 때 FBX임포트 옵션을 아래처럼 두고 임포트해주면 문제없이 잘 임포트되는걸 볼 수 있다. 중복 키 제거 항목을 꼭 언체크해 줘야 한다. 2022. 9. 24. 언리얼엔진5 게임 패키징(빌드,쿠킹) 에러 해결방법 가끔가다 언리얼엔진에서 수십분동안 패키징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심지어 패키징 성공이라는 알림까지 떴음에도 불구하고 패키징 경로를 보면 아무것도 없이 비어있거나 아무 변화가 없을 때가 있어. 그럴땐 프로젝트 세팅의 패키징 부분에서 아래의 항목에 내가 패키징할 레벨만 추가해주면 다른 간섭 없이 필요한 부분만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패키징할 수 있어. 게다가 위에서 언급한 오류도 나지 않아. 그 밖의 나머지에 대한 패키징 오류는 아래의 항목들을 조절해 주면 대부분 해결될거야. 그래도 해결이 되지 않는다면 빌드에 사용하는 Visual Studio같은 프로그램들의 버전을 점검해 주거나 경로를 다시 확인해줘. https://zheldgksekfck.tistory.com/125 언리얼엔진5 출시 및 배포를 위한 패키징 .. 2022. 9. 20. 언리얼엔진5 에디터에서 빈 폴더 삭제시 참조 에셋 오류 가끔 언리얼엔진으로 작업을 하다 보면 내용물들을 전부 옮겨 빈 폴더인데도 폴더를 삭제하려 하면 삭제 대기중인 에셋이 있다며 선뜻 확인 버튼을 누르지 못하게 사용자를 당황스럽게 만드는 경우가 있어. 그럴땐 당황하지 않고 폴더에 커서를 대고 우클릭을 해준 뒤, 아래의 항목을 클릭해주면 깔끔하게 해당 폴더가 정리될거야. 그런 후에 다시 해당 폴더를 삭제하면 다른 오류 없이 즉시 삭제가 끝나. 2024-02-15, 22:41++ 댓글 알림이 와서 그거 보러 온 김에 확장하는 느낌으로 내용 추가하겠음 ㅋㅋㅋ. https://zheldgksekfck.tistory.com/215 언리얼 엔진 5(Unreal Engine 5) 특정 폴더나 파일을 삭제할 때 참조정리 빠르게 하는 미세 팁. 만약 언리얼 에디터에서 특정 .. 2022. 9. 20. 언리얼엔진 C++을 이용한 기본 플레이어 이동 구현하기 2022. 9. 16. 언리얼엔진5 애니메이션 블루프린트 다루는 방법(UnrealEngine5 Animation Blueprint) 애니메이션 블루프린트(애님 블프)는 C++만으론 벅찰수도 있는, 게임 안에서 이루어지는 대부분의 애니메이션들을 전부 손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우선 언리얼 에디터의 빈 공간에서 우클릭 후 아래의 경로대로 클릭! 대상이 될 캐릭터의 스켈레톤을 지정해서 생성해 줍니다. 만든 애니메이션 블루프린트로 들어가 보면 텅 비어 있는걸 볼 수 있어요. 여기서 빈 공간에 우클릭을 해서 새로운 빈 상태 머신을 만들어 줍니다.(Add New State Machine) 이 글 작성하다가 다른거 하러가놓고 까먹었나봄. ++2024-03-05 내용 추가.(꾸준히 업뎃 할 예정ㅠ) 애니메이션 블루프린트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 요소는 아래 사진과 같이 "Event Graph"와 "AnimGraph"라고 볼 수 있습.. 2022. 9. 16.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 SMALL